분류 전체보기 3

DOM

DOM의 개념 문서 객체 모델(DOM)이란? 문서객체모델이라고 하며 HTML 혹은 XML문서의 구조화된 표현을 제공하는 표준입니다. HTML에서는 자바스크립트가 DOM 구조에 접근할 수 있는 방법이 제공되며 이를 통해 문서 구조, 스타일, 내용등을 변경 할 수 있습니다. 자바스크립트는 DOM을 이용하여 HTML의 태그, 속성, 스타일 등을 추가/삭제 하거나 변경할 수 있습니다. Document Node document 객체를 말하며 DOM 트리에 접근하기 위한 최상위 노드로 모든 DOM 트리에 접근하기 위한 시작점이 됩니다. Element Node HTML 구성 요소 즉 대표적으로 대그를 의미합니다. 문서내 태그들은 모두 Element Node 들 입니다. 각각의 Element Node 는 다시 Attr..

카테고리 없음 2022.09.18

웹 접근성과 웹 표준

* HTML과 CSS를 활용한 본격적 프로젝트 진행에 앞서, 웹 개발자라면 필수적으로 알아두어야 할 웹 접근성과 웹표준에 대해 다시한번 숙지하고 넘어가고자 관련 내용을 서치 후 정리해 보았습니다. 웹의 힘은 그것의 보편성에 있다. 장애에 구애없이 모든 사람이 접근할 수 있는 것이 필수적인 요소이다. 팀 버너스 리 경 - 웹의 창시자 (Tim Berners - Lee , W3C Director and inventor of the World Wide Web) 웹 접근성 (Web Accessibility) 이란? 모든 사용자가 신체적, 환경적 조건에 관계없이 웹에 접근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것 즉, 어떠한 사용자(일반인, 장애인, 고령자 등)가 어떠한 환경(브라우저, 운영체제, 디바이스의 환경이나 사..

카테고리 없음 2022.09.11

[작업환경] 자바스크립트 디버깅 툴, Quokka 플러그인 소개 및 사용법

자바스크립트를 진행하다 막힐 때가 있다. 나올거라 예상했던 결과가 아니라 엉뚱한 결과가 나오곤 하는데, 코드가 길어지니 대체 어디가 문제인지 찾아내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그래서 찾아봤다. 제로베이스 자바스크립트 강의에서 강사님이 사용하시는 것을 보고 처음 알게 된 기능이다. 원래 자바스크립트는 실행을 해야 결과창에서 그 결과를 볼 수가 있는데, 해당 플러그인을 사용하면 따로 실행시키지 않아도 우측에 바로 결과 값이 나오며, 코드에 문제가 있을 시 좌측 초록상자가 빨갛게 변하며 오류가 있음을 알려준다. 실시간으로 오류를 발견하고 수정하는데에 너무 좋은 기능 같아 바로 깔아 보았고, 그 과정과 사용법을 함께 소개해보고자 한다. Quokka 플러그인이란? JavaScript ..

WeeklyILearned 2022.09.04